WCA 규정
버전: 2025년 1월 1일
[
[
wca-regulations-translations:0df2c75
]참고
번역
번역본은 편의를 위해 WCA 웹사이트에서 제공되지만, 공식 버전이 아님을 유의한다.
번역본과(현재 공식적인) 영문 버전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문 버전이 반드시 사용되어야 한다.
번역이 되어야 마땅하지만, 외래어 및 신조어가 굳어진 표현들에 대해서는 널리 쓰이는 단어를 최대한 사용하였다.
번역에 기여한 사람: 고영진, 구민서, 장석원, 최경민, 최일규
WCA 규정과 지침
WCA 규정은 세계 큐브 협회(이하 WCA)에 의해 승인되는 모든 공인 대회에 적용되는 전체 규정을 포함한다.
또한 WCA 규정은 WCA 지침으로 보완된다. 규정은 완전한 문서로 여겨져야 하지만, 지침에는 추가적인 명료화와 설명이 포함되어 있다.
단어 선택
"must", "must not", "should", "should not", 및 "may" 의 사용은 RFC 2119의 정의를 따른다.
이에 따라 위 단어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번역한다:
- must: 반드시 ~ 해야 한다
- must not: 절대로 ~ 해서는 안 된다
- should: ~ 해야 한다
- should not: ~ 해서는 안 된다
- may: ~ 할 수 있다
인터넷상의 정보
WCA 웹 사이트: www.worldcubeassociation.org
WCA 규정 원본: www.worldcubeassociation.org/regulations
WCA 규정의 PDF 형식
출처
WCA 규정 및 지침의 변천은 GitHub에 공개되어 있으며, 논의는 WCA 포럼에 공개되어 있다.
문의
질문 및 피드백은 WCA 규정 위원회(WRC)로 연락한다.
규정 및 지침 번역본에 대한 질문 및 피드백은 한국큐브문화진흥회(KCCU)로 연락한다.
목차
참고: 규정이 삭제되어도 조항 및 규정 번호는 재할당되지 않으므로, 번호 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제1조: 운영진
- 제2조: 선수
- 제3조: 퍼즐
- 제4조: 스크램블링
- 제5조: 퍼즐 파손
- 제7조: 환경
- 제9조: 종목
- 제10조: 맞추어진 상태
- 제11조: 사건
- 제12조: 표기법
- 제A조: 스피드 솔빙
- 제B조: 눈 가리고 맞추기
- 제C조: 한 손으로 맞추기
- 제E조: 최소회전
- 제H조: 눈 가리고 맞추기(복수)
제1조: 운영진
- 1a) 각 대회는 WCA 파견위원과 다음과 같은 운영진(한 명 이상)을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심판, 스크램블러, 기록 입력자.
- 1b) 대회의 운영진은 대회 전, 중, 후의 실행 계획에 대한 책임을 진다.
- 1c) WCA 파견위원은 대회가 WCA 규정 및 적용 가능한 WCA 정책 혹은 요구 사항들을 준수하는지 보장할 책임을 진다. WCA 파견위원은 운영진의 다른 구성원이 특정한 책무를 수행하도록 지명할 수 있으나, 책무가 어떻게 수행되는지에 대한 책임은 궁극적으로 WCA 파견위원에게 있다.
- 1e) 각 종목은 반드시 한 명 이상의 심판이 있어야 한다.
- 1f) 각 종목은 반드시 한 명 이상의 스크램블러가 있어야 한다. 예외: 3x3x3 최소회전.
- 1g) 각 종목은 반드시 한 명 이상의 기록 입력자가 있어야 한다.
- 1h) 한 종목의 동일한 라운드에 속한 선수는 하나의 조 혹은 복수의 조로 나누어져 참가할 수 있다.
- 1j) 모든 운영진은 대회에 참가할 수 있다.
- 1k) 운영진은 여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예: 운영진, WCA 파견위원, 심판, 기록 입력자, 스크램블러).
제2조: 선수
- 2a) 다음 사항을 만족하는 사람은 누구나 WCA 대회에 참가할 수 있다:
- 2b) 만 18세 미만의 선수는 반드시 부모/보호자의 동의를 얻어야 대회에 신청 및 참가할 수 있다.
- 2c) 선수는 운영진에 의해 요구되는 모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참가 신청을 한다(이름, 국가, 생년월일, 성별, 연락처 정보, 참가 종목을 포함함).
- 2d) 선수의 이름, 국가, 성별, 그리고 대회 결과는 공개적인 정보로 여겨진다. 다른 모든 개인 정보는 비공개 정보로 여겨지며, 선수의 동의 없이 외부 조직/외부인에게 절대로 노출되어서는 안 된다.
- 2e) 선수는 반드시 시민권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를 대표해야 한다. WCA 파견위원은 선수의 첫 대회에서 문서 혹은 문서의 사진(예: 여권)을 통해 시민권을 확인해야 한다. 선수가 본인이 등록한 국가를 대표할 자격이 없다고 판단되면, 해당 선수는 WCA 이사회의 재량에 따라 소급하여 실격 및 정지될 수 있다.
- 2e1) 적격한 국가는 WCA 인정 지역 목록에 의해 규정된다.
- 2e2) 선수는 대회 간에 언제든지 국가를 변경할 수 있다(규정 2c2 참고), 단, 이전 변경이 있고 난 뒤 최소 1년이 지나야 한다.
- 2e3) 시민권이 없는 선수는 "무국적"으로서 참가할 수 있다.
- 2f) 선수는 반드시 대회장 규칙을 준수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태도로 행동해야 한다.
- 2g) 선수는 반드시 지정된 대회 구역 안에서 정숙을 유지해야 한다. 대화는 허용되나 반드시 적당한 수준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기록 측정 중인 선수로부터 떨어져 있어야 한다.
- 2g3) 같은 조의 모든 선수가 더 이상 남은 시도가 없지 않은 한, 측정 진행 중인 조에 속한 선수는 같은 조에 속한 다른 선수와 절대로 해당 조의 스크램블 상태에 대하여 소통하여서는 안 된다. 페널티: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라 해당 종목으로부터 선수 실격. 예외: 3x3x3 최소회전 종목과 3x3x3 눈 가리고 맞추기(복수)에서, 시도를 마친 선수는 같은 그룹에 속한 다른 선수 중 시도를 마쳤거나 시도를 거부한 선수와 스크램블 시퀀스에 대해 공유하고 의논할 수 있다.
- 2g3a) 결과가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라운드에서는 운영진이 선수가 자신의 그룹에서 입력된 결과의 시도를 완료하기 전까지 볼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 2g3) 같은 조의 모든 선수가 더 이상 남은 시도가 없지 않은 한, 측정 진행 중인 조에 속한 선수는 같은 조에 속한 다른 선수와 절대로 해당 조의 스크램블 상태에 대하여 소통하여서는 안 된다. 페널티: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라 해당 종목으로부터 선수 실격. 예외: 3x3x3 최소회전 종목과 3x3x3 눈 가리고 맞추기(복수)에서, 시도를 마친 선수는 같은 그룹에 속한 다른 선수 중 시도를 마쳤거나 시도를 거부한 선수와 스크램블 시퀀스에 대해 공유하고 의논할 수 있다.
- 2h) 선수는 대회장 내에 있는 동안 반드시 적절한 복장을 착용해야 한다. 선수는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라 부적절한 복장으로 인해 대회로부터 실격될 수 있다.
- 2i) 미리보기 혹은 솔빙 도중, 선수는 스택맷 타이머 혹은 스톱워치 외의 전자 기기를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예: 휴대 전화, 이어폰, 추가적인 조명). 페널티: 해당 시도의 실격(DNF). 전자 부품이 포함된 모든 사물은 전자 제품으로 간주한다.
- 2j) WCA 파견위원은 선수를 특정 시도 혹은 종목으로부터 실격시킬 수 있다.
- 2j1) 어떠한 이유로든 선수가 한 종목으로부터 실격됐을 경우, 해당 종목에서 더 이상의 시도가 주어지지 않는다.
- 2j1a) 선수가 실격되기 전에 해당 라운드에서 하나 이상의 시도를 시작했다면, 해당 종목의 남아있는 모든 시도의 결과는 DNF로 기록된다. 선수가 시도를 시작하지 않았다면(예: 결과가 없거나 DNS 결과만 가지고 있는 경우), 결과는 기록되지 않는다.
- 2j2) 실격이 적용된 시점에 이미 완료된 시도의 결과는 절대로 실격 처리되어서는 안 된다. 예외: 부정행위 혹은 기만행위(규정 2k2a 참고).
- 2j3) 특정 완료된 시도는 시도 도중에 관련 사건이 발생한 경우에만 규정 2k에 설명된 상황에 따라 실격 처리될 수 있다.
- 2j1) 어떠한 이유로든 선수가 한 종목으로부터 실격됐을 경우, 해당 종목에서 더 이상의 시도가 주어지지 않는다.
- 2k) 선수가 다음 항목에 해당하는 경우,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라 특정 시도 혹은 종목(단일, 복수, 혹은 모든 종목)에서 실격 처리될 수 있다.
- 2k1) 참가 신청 혹은 접수를 제시간에 하지 못한 경우.
- 2k2) 대회 도중 부정행위가 의심되거나 운영진을 기만한다고 의심될 경우.
- 2k2a) WCA 파견위원은 의심되는 결과를 실격 처리할 수 있다.
- 2k3) 불법/폭력/음란/위험 행위를 하거나, 대회장 시설 혹은 대회장 내 개인의 재산을 의도적으로 손상할 경우.
- 2k4) 대회 도중 상대방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거나 방해하는 경우.
- 2k5) 대회가 진행되는 동안 WCA 규정을 준수하지 못한 경우.
- 2k6) 종목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예: 퍼즐을 맞출 줄 모름). 선수는 DNF 혹은 의도적으로 좋지 않은 기록을 기대하며 대회에 참가해서는 안 된다.
- 2l) 선수는 위반 사항의 성격과 심각성에 따라 즉시 혹은 경고 조치 후에 실격될 수 있다.
- 2l1) 실격당한 선수는 대회 참가로 인해 발생한 그 어떠한 지출도 환불받을 수 없다.
- 2n) 선수는 구두로 WCA 파견위원에게 판정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 2s) 하나 이상의 WCA 규정을 준수하는 것이 어려운 선수는(예: 장애) WCA 파견위원에게 특별한 편의를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편의를 요청하는 선수는 적어도 대회 시작 2주 전까지 대회 운영진과 WCA 파견위원에게 연락해야 한다.
- 2s1) 일반적인 대회의 진행을 따를 수 없는 상황에 놓인 선수는 특별한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편의가 적용되기 전에 WCA 규정 위원회에 상정해야 한다.
- 2t) 모든 선수는 대회 전에 WCA 규정을 반드시 숙지하고 이해해야 한다.
- 2u) 선수는 시도를 위해 호출될 때 반드시 대회장에 출석해야 하며 참가할 준비가 되어야 한다. 페널티: 종목으로부터 실격.
제3조: 퍼즐
- 3a) 선수는 대회를 위한 퍼즐을 직접 준비할 책임이 있다.
- 3d) 퍼즐에는 퍼즐의 색 배치를 정의하는 색상 부품이 반드시 있어야 하며, 색상 부품으로 다음 중 반드시 오직 하나만 가질 수 있다: 색상 스티커, 색상 타일, 색상 플라스틱 혹은 색칠된/인쇄된 색. 퍼즐의 모든 색상 부품은 반드시 비슷한 재질로 만들어져야 한다.
- 3h) 퍼즐의 기본 개념을 향상하는 개조는 허용되지 않는다. 퍼즐의 개조된 버전은 동일한 퍼즐의 개조되지 않은 버전과 비교했을 때 선수가 추가적인 정보(예: 조각의 오리엔테이션 또는 유형)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만 허용된다.
- 3h1) "필로우" 퍼즐은 허용된다.
- 3h2) 퍼즐 내부에서 색상 플라스틱이 보이는 퍼즐(예: 자체색 퍼즐)은 허용된다. 다음 퍼즐들은 이에 포함되지 않는다:
- 3h3) 선수의 저조한 성과를 초래하는 퍼즐 개조는 추가적인 시도의 근거가 되지 못한다.
- 3h4) 클락 종목에서 다음 개조는 허용된다:
- 3h4a)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라 커스텀 "삽입물"(원래 삽입된 것과 동일한 모양과 크기)은 허용된다. 삽입물은 원래의 삽입물에 일치하도록 반드시 명확한 12시를 가리키고 있어야 한다.
- 3h4b)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라 불공평한 이득을 주지 않는 퍼즐 디자인 커스터마이징은 허용될 수 있다(예: 바둑판 패턴, 커스텀 디자인된 면, 클락 측면에 테이프 부착).
- 3h4c)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라 같은 면의 다른 핀들과 구별되게 하는 핀 커스터마이징은 허용된다.
- 3h4d) 안쪽 클락 면을 가리지 않는 한 로고는 퍼즐 어느 곳에나 위치할 수 있다.
- 3h5) 클락 종목에서 느슨한 핀(직접 누르는 것 대신에 중력을 이용하여 딸깍거리거나 느슨해지는 핀)은 합당한 마모로 간주하지 않으며, 이러한 퍼즐은 절대로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
- 3j) 퍼즐은 반드시 깨끗해야 하며, 어떤 조각이 비슷한 조각과 확연하게 구별되는 표시, 들뜬 조각, 손상 또는 기타 차이점이 절대로 있어서는 안 된다. 예외: 로고(규정 3l 참고).
- 3j1)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라 합당한 마모가 있는 퍼즐은 허용된다.
- 3j1a) 마모가 퍼즐의 정상적인 사용으로 인한 것이면서 퍼즐의 상태(예: 특정 조각의 위치)에 대해서 추가적인 중요한 정보를 주지 않는다고 판단될 때 합당한 마모라고 여겨져야 한다.
- 3j2) 정의: 두 조각이 서로 모양과 크기가 동일하거나 모양이 대칭이고 크기가 동일한 경우, 두 조각은 서로 비슷하다고 정의된다.
- 3j3) 촉감으로 조각의 오리엔테이션을 구별할 수 있는 물결무늬 혹은 질감이 있는 조각을 포함하는 퍼즐은 눈 가리고 맞추기 종목에서 허용되지 않는다.
- 3j1)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라 합당한 마모가 있는 퍼즐은 허용된다.
- 3k) 퍼즐은 대회에서 사용되기 전에 WCA 파견위원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 3l) 퍼즐의 색상 부품에는 하나 이상의 로고가 있을 수 있다. 만약 있다면, 로고들은 반드시 하나의 색상 부품에서 같은 색을 띠는 부분에 위치해야 한다. 예외: 4x4x4 눈 가리고 맞추기, 5x5x5 눈 가리고 맞추기, 3x3x3 눈 가리고 맞추기(복수) 종목에서는 퍼즐에 절대로 어떠한 로고도 있어서는 안 된다.
- 3m) 위 WCA 규정을 모두 만족하는 모든 브랜드의 퍼즐 및 부품들은 허용된다.
제4조: 스크램블링
- 4a) 스크램블러는 퍼즐에 스크램블 시퀀스를 적용한다.
- 4b) 대회의 스크램블 시퀀스는 반드시 공식 WCA 스크램블 프로그램의 현재 공식 버전을 사용하여 생성되어야 한다(WCA 웹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
- 4b1) 생성된 스크램블 시퀀스는 절대로 대회 전에 검수되어서는 안 되며, WCA 파견위원에 의해 어떤 방식으로든 절대로 여과되거나 선택되어서는 안 된다.
- 4b2) 한 조의 측정이 시작되기 전에는 반드시 오직 WCA 파견위원만 해당 조의 스크램블 시퀀스를 볼 수 있어야 하며, 해당 조의 측정이 종료되기 전까지는 WCA 파견위원과 스크램블러만이 볼 수 있다. 예외: 3x3x3 최소회전 종목은 선수가 라운드 진행 도중에 스크램블 시퀀스를 받는다(제E조 참고).
- 4b2a) 대회에 지정된 WCA 파견위원은 반드시 자신이 향후 조에 대한 스크램블 시퀀스를 일시적으로 제공하지 못할 때만(예: 본인의 기록 측정) 운영진의 다른 구성원에게 스크램블 시퀀스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해야 하며, 이 경우 가능한 최소한의 접근만을 허용해야 한다.
- 4b3) 스크램블 프로그램의 사양: 공식적인 스크램블 시퀀스는 퍼즐이 맞추어지기까지 어떤 상태에서든 반드시 최소 2회전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상태를 생성해야 한다(상태마다 동일한 확률로). 다음의 추가/예외 사항이 적용된다:
- 4b3a) 눈 가리고 맞추기 종목에서, 스크램블 시퀀스는 퍼즐의 오리엔테이션을 반드시 무작위로 만들어야 한다(각 오리엔테이션에 대해 동일한 확률).
- 4b3b) 2x2x2 큐브: (무작위의) 상태는 맞추어지기 위해서 반드시 최소 4회전을 필요로 해야 한다.
- 4b3c) 스큐브: (무작위의) 상태는 맞추어지기 위해서 반드시 최소 7회전을 필요로 해야 한다.
- 4b3d) 스퀘어-1: (무작위의) 상태는 맞추어지기 위해서 반드시 최소 11회전을 필요로 해야 한다.
- 4b3e) 5x5x5 큐브, 6x6x6 큐브, 7x7x7 큐브, 그리고 메가밍크스: 충분히 많은 무작위 회전(무작위의 상태 대신), 맞추어지기 위해서 최소 2회전을 필요로 한다.
- 4b3f) 피라밍크스: (무작위의) 상태는 맞추어지기 위해서 반드시 최소 6회전을 필요로 해야 한다.
- 4b4) 각 스크램블 시퀀스는 최대 2시간 동안 적용되어야 한다. 이 시간은 스크램블 시퀀스가 처음 적용될 때 시작된다.
- 4d) 스크램블링 오리엔테이션:
- 4d1) NxNxN 큐브와 메가밍크스는 흰색 면이(없다면 가장 밝은 색의 면) 위에 오도록 하고, 흰색 면과 인접한 면 중 가장 어두운 초록색 면이(없다면 인접한 면 중 가장 어두운 색의 면) 정면에 오게 한 채로 스크램블링을 시작해야 한다.
- 4d2) 피라밍크스는 노란색 면이(없다면 가장 밝은 색의 면) 아래로, 초록색 면이(없다면 인접한 면 중 가장 어두운 색의 면) 앞에 오게 한 채로 스크램블링을 시작해야 한다.
- 4d3) 스퀘어-1은(스크램블이 가능한 2가지 방향 중) 어두운색의 면을 앞쪽에 오게 한 채로 스크램블링을 시작해야 한다.
- 4d4) 클락은 아무 면이나 앞에 두고 12시가 위로 향하게 한 채로 스크램블링을 시작해야 한다.
- 4d5) 스큐브는 흰색 면이(없다면 가장 밝은 색의 면) 위에 오도록, 초록색 면이(없다면 가장 밝은 색의 면) 앞-왼쪽에 오도록 한 채로 스크램블링을 시작해야 한다.
- 4g) 퍼즐을 스크램블한 후, 스크램블러는 퍼즐이 올바르게 스크램블 되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퍼즐이 올바르게 스크램블 되지 않았다면, 스크램블러는 반드시 이를 정정하여야 한다(예: 퍼즐을 맞추고 다시 스크램블 시퀀스를 적용하기)
제5조: 퍼즐 파손
- 5a) 퍼즐 파손의 예시는 다음을 포함한다.: 튀어나온 조각, 제자리에서 뒤틀린 조각, 분리된 나사/캡/스티커.
- 5b) 퍼즐 파손이 시도 도중에 발생하면, 선수는 파손을 수리하고 시도를 이어 나갈지 혹은 시도를 중단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선수는 이전에 발생한 퍼즐 파손을 수리하는 경우 외에는 의도적으로 퍼즐 파손을 일으킬 수 없다 (규정 5b3b와 규정 5b3c 참고). 의도적인 퍼즐 파손의 예: 부착된 센터 캡 제거, 코너 조각의 방향 돌리기, 스티커 벗기기.
- 5b1) 선수가 퍼즐을 수리하기로 선택하면, 선수는 반드시 파손된 부분만을 수리해야 한다. 도구나 다른 퍼즐의 조각은 절대로 원래의 퍼즐을 수리하는 데 사용될 수 없다. 페널티: 해당 시도의 실격(DNF).
- 5b2) 퍼즐에 행해지는 어떠한 수리도 선수가 퍼즐을 맞추는 데 있어 절대로 이득을 주어서는 안 된다. 페널티: 해당 시도의 실격(DNF).
- 5b3) 허용된 수리:
- 5b3a) 어떠한 부품이 떨어져 나가거나 제자리에서 벗어난 경우, 선수는 해당 부품을 제자리로 되돌려 놓을 수 있다.
- 5b3b) 선수가 퍼즐을 수리하였으나 수리 후 솔브 도중 퍼즐이 완전히 맞추어질 수 없는 상태인 것을 발견했을 때, 맞출 수 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해 최대 4 조각까지 분해했다가 재조립할 수 있다.
- 5b3c) 만약 퍼즐이 맞출 수 없는 상태이지만 코너 한 조각을 돌려 맞출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으면, 선수는 퍼즐을 분해하지 않고 코너 한 조각을 돌려서 상태를 정정할 수 있다. 퍼즐 파손으로 인해 복수의 코너 조각이 돌아간 경우, 선수는 이러한 코너 트위스트를 정정할 수 있다. 단, 선수가 정정하는 조각의 수는 퍼즐 파손으로 인해 돌아간 조각의 수를 초과할 수 없다.
- 5b4) 눈 가리고 맞추기 단계 동안은(규정 B4 참고), 모든 수리가 반드시 눈을 가린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페널티: 해당 시도의 실격(DNF).
- 5b5) 솔브가 끝날 무렵에 퍼즐의 일부가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거나 제자리에 완전히 위치하지 않은 경우, 다음 규정을 적용한다:
- 5b5a) 색이 있는 면이 없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부품이 영향을 받았다면, 해당 퍼즐은 맞추어진 것으로 간주한다.
- 5b5b) 한 면의 색이 포함된 하나의 부품이 영향을 받았다면, 해당 퍼즐은 맞추어진 것으로 간주한다.
- 5b5c) 한 면의 색이 포함된 두 개 이상의 부품이 영향을 받았다면, 해당 퍼즐은 맞추어지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DNF).
- 5b5d) 둘 이상의 면의 색이 포함된 하나 이상의 부품이 영향을 받았다면, 해당 퍼즐은 맞추어지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DNF).
- 5b5e) 규정 5b5c와 5b5d는 5b5a와 5b5b보다 우선 적용된다.
- 5b5f) 만약 부품이 부분적으로 떨어져 있거나 제자리에 완전히 위치하지 못하면, 해당 부품의 최종 위치는 퍼즐의 현재 상태를 고려할 때 영향을 받은 조각이 퍼즐 메커니즘 안에서 정상적으로 맞을 수 있는 가장 가까운 위치이다. 최종 위치가 조각이 맞추어진 것으로 만들게 한다면, 해당 조각은 퍼즐 파손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여긴다.
- 5b6) 정의: 부품이란 퍼즐의 일반적인 작동 중에 서로 연결되어 있고 서로에 대해 움직이지 않는, 퍼즐 구성 요소 그룹에서 완전히 연결된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이다(예: 3x3x3 센터 캡, 피라밍크스 팁, 한 면이 없는 3x3x3 코너 조각, 3x3x3 코너 조각의 한 면).
제7조: 환경
- 7b) 관람객은 기록 측정석과 반드시 최소 1.5 미터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 7c) 대회 장소의 조명은 반드시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선수가 퍼즐의 색상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조명은 특정 색상에 치우치지 않아야 한다.
- 7e) 대회 장소는 반드시 금연 구역이어야 한다.
- 7f) 기록 측정석:
- 7h) 선수가 한 라운드의 모든 시도 동안 동일한 측정석에서 머물지 않는 경우, 대회 구역에는 하나 이상의 선수 대기 구역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예외: 개별적으로 일정이 지정된 시도가 있는 라운드.
- 7h2) 정의: 선수 대기 구역은 조에 속한 선수들이 기록 측정석으로 호출되기 위해 대기하는 구역이다.
제9조: 종목
- 9a) WCA는 조각들을 돌림으로써 작동되는 “트위스티 퍼즐”이라고 알려진 기계식 퍼즐들에 대한 대회를 관할한다.
- 9b) WCA의 공인 종목은 다음과 같다:
- 9f) 라운드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측정된다:
- 9f1) 3x3x3 눈 가리고 맞추기(복수) 종목의 결과를 제외한 10분 이하로 측정된 결과는 100분의 1초 단위로 절사된다. 측정된 10분 이하의 모든 절단 평균과 평균은 가장 가까운 100분의 1초 단위로 반올림되어 기록된다.
- 9f2) 3x3x3 눈 가리고 맞추기(복수) 종목의 모든 결과를 포함한 10분을 초과하는 측정된 모든 결과, 절단 평균, 평균은 1초 단위로 절사된다.
- 9f4) 시도가 실격 처리되거나 맞춰지지 않은 상태 또는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로 끝나면, 해당 시도의 결과는 DNF (Did Not Finish)로 기록된다.
- 9f4a) 선수가 시도의 실격이 확실할 정도로 규정을 위반하였다면, 심판은 즉시 시도를 중단해야 한다. 심판의 판단이 확실하지 않거나 분쟁으로 인해 대회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경우(예: 엑스트라 시도가 대회를 지연시킬 수 있음), 심판은 WCA 파견위원과 상의해야 한다.
- 9f5) 선수가 시도 자격이 있었으나 시도를 시작하지 않은 경우, 해당 시도의 결과는 DNS (Did Not Start)로 기록된다(규정 A3b2 참고).
- 9f6) "단일(X회)" 라운드에서, 각 선수는 X 회의 시도를 할당받는다. 해당 시도 중 최고의 결과로 선수의 라운드 순위를 결정한다.
- 9f7) "단일(X회)" 라운드에서, DNF나 DNS는 가능한 기록 중 최저의 결과이다.
- 9f8) "평균(5회)" 라운드에서, 선수는 5회의 시도를 할당받는다. 5회의 시도 중에서, 최고의 결과와 최저의 결과는 제외되며, 남은 3회의 산술 평균으로 해당 선수의 라운드 순위를 결정한다.
- 9f9) "평균(5회)" 라운드에서, 하나의 DNF 또는 DNS는 선수의 해당 라운드 최저의 결과로 인정된다. 선수가 하나의 라운드에서 두 개 이상의 DNF 및 DNS 결과를 가지고 있다면, 선수의 해당 라운드 평균 기록은 DNF이다.
- 9f10) "평균(3회)" 라운드에서, 선수는 3회의 시도를 할당받는다. 세 시도의 산술 평균으로 선수의 라운드 순위를 결정한다.
- 9f11) "평균(3회)" 라운드에서, 선수가 최소한 한 개 이상의 DNF 혹은 DNS 기록을 받았다면 그 선수의 해당 라운드의 평균은 DNF이다.
- 9f12) "단일(X회)" 라운드에서, 순위는 선수의 최고 결과를 기반으로 매겨진다. 다음 항목이 결과를 비교하는 데 적용된다:
- 9f12a) 측정된 결과에 대하여 더 빠른/짧은 기록이 "더 나은" 기록으로 정의된다.
- 9f12b) 3x3x3 최소회전 종목에서 더 짧은 해답이 "더 나은" 해답으로 정의된다.
- 9f12c) 3x3x3 눈 가리고 맞추기(복수) 종목은 맞추어진 퍼즐의 개수에서 맞추지 못한 퍼즐의 개수를 뺀 값으로 순위가 매겨지며, 이 값이 클수록 더 나은 결과이다. 두 값의 차가 0보다 작거나 오직 한 개의 퍼즐만이 맞추어졌다면, 해당 시도는 맞추어지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DNF). 선수가 동일한 결과를 얻을 경우 총 소요 시간을 기준으로 순위가 매겨지며, 해당 시간이 짧을수록 더 나은 결과이다. 만약 선수가 동일한 결과를 동일한 총 소요 시간에 달성한 경우 맞추지 못한 퍼즐 수를 기준으로 순위가 매겨지며, 맞추지 못한 퍼즐이 적을수록 더 나은 결과이다.
- 9f13) "평균(3회)"과 "평균(5회)" 라운드에서 순위는 선수의 절단 평균/평균을 기준으로 매겨지며, 기록된 결과가 작을수록 "더 나은" 결과이다.
- 9f14) "평균(3회)"과 "평균(5회)" 라운드에서 둘 이상의 선수가 동일한 절단 평균/평균 결과를 달성한 경우 순위는 각 선수의 최고 시도로 매겨지며, "더 나은"은 기록된 결과가 더 작은 것으로 정의된다.
- 9f15) 여러 선수가 동일한 라운드에서 평균과 최고의 결과가 완전히 동일하면 라운드에서 동일한 순위를 부여받는다.
- 9g) 컷오프 라운드는 "단일(X회)" 컷오프 단계와 컷오프 요구 사항이(예: 컷오프 요건이 정확히 2분 미만보다 나은 결과여야 하는 "단일(2회)") 존재하는 라운드이다. 컷오프 형식 시도에서 적어도 하나의 시도가 컷오프 요건을 만족할 경우, 선수는 남은 시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컷오프 형식에서의 시도들은 전체 라운드 형식에 포함된다.
- 9i) WCA 공인 대회의 결과는 반드시 WCA 세계 랭킹에 등재되어야 한다.
- 9j) 각 종목은 반드시 대회당 최대 한 번만 개최될 수 있다.
- 9k) 모든 선수는 WCA 대회 발표 팀에 의해 특별히 승인된 상황을 제외하고는 대회의 모든 종목에 참가할 수 있다.
- 9l) 각 라운드는 동일한 종목의 후속 라운드가 시작되기 전에 반드시 완료되어야 한다. 예외: 엑스트라 시도는 무효인 시도를 대체하기 위해 대회 도중 아무 때나 부여될 수 있다.
- 9l1) 엑스트라 시도가 제공되어야 하는 경우, 원래 시도는 무효로 간주한다.
- 9m) 각 종목은 최대 4라운드까지 진행될 수 있다.
- 9o) 컷오프 라운드는 종목당 라운드 수를 계산할 때 하나의 라운드로 계산된다.
- 9p) 한 종목에 복수의 라운드가 있는 경우:
- 9p1) 같은 종목의 연속된 라운드 사이에는 최소 25%의 선수가 반드시 탈락하여야 한다.
- 9p2) 후속 라운드에 진출하는 선수는 반드시 순위(상위 X 등) 혹은 결과(X보다 좋은 결과)로 결정되어야 한다.
- 9p2a) 각 라운드에 대하여 후속 라운드로의 진출 조건은 반드시 해당 라운드가 시작되기 전에 공지되어야 하며, 라운드가 시작된 이후로는 진출 조건이 변경되어서는 안 된다. 진출 조건의 변경은 반드시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라 이루어져야 하며, 이때 WCA 파견위원은 변경에 대한 공정성을 반드시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 9p2b) 예외: 국가 챔피언십 혹은 대륙 챔피언십으로 지정된 대회의 경우, 운영진은 해당 지역을 대표하는 선수를 위한 자리를 확보하기 위해 진출 조건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후속 라운드에서 최대 8자리 또는 전체 자리의 50% 중 더 적은 수를 확보할 수 있다. 확보된 자리가 있는 라운드의 경우, 이전 라운드에서 진출하는 선수는 해당 지역을 대표하는 확보된 수의 최고 성적 선수들로 구성되며, 그 뒤를 이어 대표하는 지역에 상관없이 나머지 최고 성적의 선수들이 포함된다.
- 9p3) 후속 라운드의 진출 조건을 만족한 선수가 진출을 기권하면, 진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선수 중 가장 순위가 높은 선수가 대신하여 후속 라운드에 진출할 수 있다.
- 9p4) DNF 및 DNS 결과만 있는 선수는 진출 자격이 없다.
- 9s) 각 종목의 각 라운드는 반드시 기록 제한이 존재해야 한다(규정 A1a 참고).
- 9t) 대회 종료 후 결과에 변경이 발생하여(예: 기록 입력 실수, 페널티의 소급 적용) 선수가 후속 라운드에 진출했으면 안 되는 경우(혹은 라운드에 참가했으면 안 되는 경우), 해당 선수의 모든 후속 라운드에서의 결과가 반드시 삭제되어야 한다(규정 9u 참고).
- 9u) 다음 모든 요건이 동시에 충족되는 경우 대회가 종료되었다고 간주한다:
제10조: 맞추어진 상태
- 10b) 타이머가 멈춘 후의 퍼즐의 멈춘 상태만 고려된다.
- 10c) 퍼즐은 솔브가 끝날 때 어떠한 오리엔테이션으로도 있을 수 있다.
- 10d) 퍼즐의 모든 부품은 반드시 물리적으로 부착되어 있어야 하며, 요구되는 위치에 완전히 위치하여야 한다. 예외: 규정 5b5 참고.
- 10e) 퍼즐의 모든 색상 부품이 다시 모여지고, 모든 부품이 아래 명시된 제한 범위 내에서 정렬이 되면 퍼즐은 맞추어진 것이다:
- 10e1) 규정 10f에 명시된 제한 범위를 넘어 오정렬이 된 퍼즐의 모든 인접한 두 부품에 대해서(예: 큐브의 평행하면서 인접한 두 슬라이스), 퍼즐은 맞추어지기 위해 한 번의 추가적인 회전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제12조의 "외부층 블록 회전 메트릭(Outer Block Turn Metric)" 참고).
- 10e2) 퍼즐을 맞추어진 상태로 만드는 데 추가적인 회전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퍼즐은 페널티 없이 맞추어진 것으로 간주한다.
- 10e3) 퍼즐을 맞추어진 상태로 만드는 데 1회전이 필요하다면, 퍼즐은 시간 페널티(+2초)가 적용된 채로 맞추어진 것으로 간주한다.
- 10e4) 퍼즐을 맞추어진 상태로 만드는 데 1회전보다 많은 회전이 필요하다면, 퍼즐은 맞추어지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DNF).
- 10f) 퍼즐에 허용되는 오정렬 한도:
- 10h) 이 문서에 명시되지 않은 퍼즐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퍼즐의 목적에 의해 정의된 맞추어진 상태에 따라 판단된다.
제11조: 사건
- 11a) 사건은 다음을 포함한다:
- 11b) 사건이 발생하면, WCA 파견위원은 공정하고 적절한 조치를 결정해야 한다.
- 11d) WCA 규정이 완전히 명확하지 않거나 사건이 WCA 규정에 의해 다뤄질 수 없는 경우, WCA 파견위원은 반드시 공정한 스포츠맨십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려야 한다(또한 규정 11e3 참고).
- 11e) WCA 파견위원은 사건에 의해 영향을 받은 시도를 대체하기 위해 선수에게 엑스트라 시도를 허용할 수 있다. 선수는 엑스트라 시도를 부여받기 위해 심판과 WCA 파견위원에게 구두 혹은 서면으로 사건이 일어난 당시, 즉 원래의 시도가 끝나기 전에 어필해야 한다. 어필은 엑스트라 시도를 보장하지 않는다.
- 11e1) 선수가 엑스트라 시도를 허용받게 되면, 해당 엑스트라 시도는 반드시 다른 스크램블 시퀀스로 섞어야 한다. 이 스크램블 시퀀스는 반드시 WCA 스크램블 프로그램의 공식 최신 버전을 이용하여 생성되어야 한다(규정 4b 참고).
- 11e2) 선수가 엑스트라 시도를 허용받게 되면 해당 엑스트라 시도는 엑스트라 시도를 부여받게 한 시도가 끝난 뒤 곧바로 진행되어야 하며, 반드시 원래의 정규 시도를 대체해야 한다.
- 11e3) 사건으로 인해 엑스트라 시도가 부여되어야 하는지 명확하지 않다면, 선수에게 사후에 엑스트라 시도가 적절하였다는 것으로 판단될 때만(예: WRC의 결정) 사용되는 임시 엑스트라 시도가 허용될 수 있다.
- 11f) 사건에 대한 판단은 WCA 대표의 재량에 따라 동영상, 사진 또는 음성 증거로 뒷받침될 수 있다.
- 11g) WCA 파견위원은 사건의 협의를 위해 운영진과 선수들이 규정과 지침의 복사본을(예: 인쇄된, 디지털 또는 인터넷을 통해 접근 가능) 사용할 수 있음을 반드시 보장해야 한다.
- 11h) WCA 파견위원은 상황의 심각성과 최선의 조치를 고려하여 규정 2k3을 심각하게 위반한 선수에게 대회장에서 퇴장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선수가 이를 거부할 경우, 해당 선수는 WCA의 징계를 받을 수 있다.
- 11i) 선수가 솔브를 마친 후에 퍼즐이 올바르게 스크램블 되지 않았다는 것이 발견되면 다음 규정이 적용된다:
- 11i1) 다음의 경우, 영향을 받은 시도를 대체하기 위해 엑스트라 시도가 반드시 제공되어야 한다. 엑스트라 시도가 제공되지 않으면 결과는 DNS로 간주한다:
- 11i1a) 단일 결과가 지역 신기록 혹은 세계 순위 상위 50명의 선수 기록에 포함되는 개인 신기록인 경우.
- 11i1b) 절단 평균 혹은 평균 기록을 이루는 결과가 지역 신기록 혹은 세계 순위 상위 50명의 선수 기록에 포함되는 개인 신기록인 경우.
- 11i1c) 국가/대륙/세계 챔피언십의 결승 라운드에서 달성된 결과인 경우.
- 11i1d) 퍼즐이 규정 4b3에 정의된 제한보다 적은 횟수의 회전으로 맞추어진 결과인 경우.
- 11i1e) 예외: 5x5x5 큐브, 6x6x6 큐브, 7x7x7 큐브, 메가밍크스, 3x3x3 눈 가리고 맞추기(복수) 종목의 경우, 위의 상황에서 엑스트라 시도가 제공될 필요는 없다.
- 11i2) 이 외의 경우, 결과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예외: WCA 파견위원이 엑스트라 시도를 제공하는 것이 상당히 공정한 결과를 제공한다고 판단할 경우(예: 잘못된 스크램블이 극도로 쉬워 선수가 개인 신기록을 경신한 경우, 잘못된 스크램블이 어떠한 종목의 입상 인원에 영향을 미친 경우, 또는 퍼즐이 의도적으로 잘못 스크램블 된 경우), 엑스트라 시도가 제공될 수 있다.
- 11i1) 다음의 경우, 영향을 받은 시도를 대체하기 위해 엑스트라 시도가 반드시 제공되어야 한다. 엑스트라 시도가 제공되지 않으면 결과는 DNS로 간주한다:
- 11j) 선수가 이미 받은 스크램블(즉, 중복된 스크램블)로 잘못 받았다는 것이 확인되면 다음 규정이 적용된다:
- 11j1) 선수가 미리보기 도중 중복 스크램블을 받았다고 판단하면, 선수는 아무런 회전도 가하지 않은 채로 시도를 중단하고 WCA 파견위원을 호출해야 한다.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라, 선수가 착오로 악의 없이 잘못 보고한 것에 대해서는 처벌받아서는 안 된다.
- 11j2) 해당 그룹의 경기 진행 중에 오류가 발견되면 WCA 파견위원은 선수가 올바른 스크램블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올바른 스크램블이 무엇인지 WCA 파견위원이 확신하지 못하는 경우 엑스트라 시도가 제공될 수 있다.
- 11j3) 오류가 대회 도중이지만 해당 그룹의 경기가 끝난 후에 발견되었다면, 누락된 시도는 반드시 엑스트라 시도로 대체되어야 한다.
- 11j4) 오류가 대회 이후에만 발견된 경우, 결과는 DNS로 간주한다.
제12조: 표기법
- 12a) NxNxN 큐브의 표기법:
- 12a1) 면 회전(외부층):
- 12a2) 외부층 블록 회전(외부 슬라이스와 인접한 내부 슬라이스). 아래에 설명된 각 회전에서 n은 회전해야 하는 슬라이스의 총수이며, 반드시 1 < n < N(N은 퍼즐의 층수)의 범위를 만족해야 한다. n = 2임이 내포될 때 n은 생략될 수 있다. 외부층 블록 회전은 다음과 같다:
- 12a4) 시점 변환(퍼즐 전체):
- 12a5) 외부층 블록 회전 메트릭(OBTM, Outer Block Turn Metric)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12a6) 수행 회전 메트릭(ETM, Execution Turn Metric)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면 회전, 외부층 블록 회전, 그리고 시점 변환 모두 1회전으로 처리된다.
- 12c) 스퀘어-1의 표기법:
- 12c1) E-슬라이스 면 중 가장 작은 면을 앞쪽에 놓고 적용한다. 회전은 수평 슬라이스의 두 작은 표면 중 하나를 앞면의 왼쪽에 둔 채로 적용된다.
- 12c2) (X, Y)은 다음을 의미한다: 위층을 X \* 30도만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아래층을 Y \* 30도만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X와 Y는 -5 이상 6 이하의 정수이어야 하며, X와 Y가 동시에 0이 될 수는 없다.
- 12c3) "/"은 다음을 의미한다: 퍼즐의 오른쪽 반을 180도 회전한다.
- 12c4) 스퀘어-1에서의 메트릭:(X, Y)는 1회전으로 계산되며, "/" 또한 1회전으로 계산된다.
- 12d) 메가밍크스의 표기법(스크램블링 표기법만 해당):
- 12e) 피라밍크스의 표기법:
- 12g) 클락의 표기법:
- 12h) 스큐브의 표기법:
- 12h1) 퍼즐의 방향은 윗면이 위에 오도록 하면서 세 면이 완전히 보이도록 해야 한다.
- 12h2) 시계 방향으로 120도: R(보이는 꼭지 중 가장 먼 오른쪽 아래 꼭지 주변의 층), U(보이는 꼭지 중 가장 먼 위쪽 꼭지 주변의 층), L(보이는 꼭지 중 가장 먼 왼쪽 아래 꼭지 주변의 층), B(보이지 않는 꼭지 중 가장 먼 뒤쪽 꼭지 주변의 층).
- 12h3) 반시계 방향으로 120도: R'(보이는 꼭지 중 가장 먼 오른쪽 아래 꼭지 주변의 층), U'(보이는 꼭지 중 가장 먼 위쪽 꼭지 주변의 층), L'(보이는 꼭지 중 가장 먼 왼쪽 아래 꼭지 주변의 층), B'(보이지 않는 꼭지 중 가장 먼 뒤쪽 꼭지 주변의 층).
- 12i) 정의: 회전은 규정 10f에서 서술된 허용 범위를 벗어난 오정렬을 포함하여 위에 정의된 표기법에 따른 퍼즐 상태에 대한 어떠한 변화로 간주한다.
- 12i1) 예외: 클락 종목에서는 내부 시계 면에서의 위치 변경만 회전으로 간주한다. 핀 상태의 변경은 회전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제A조: 스피드 솔빙
- A1) 스피드 솔빙 시도는 반드시 다음 절차를 준수해야 한다.
- A1a) 운영진은 라운드마다 반드시 최소 한 종류의 기록 제한(시도 당 기록 제한 및 누적 기록 제한)을 적용해야 한다.
- A1a1) 기본 기록 제한은 라운드의 각 시도당 10분이지만, 운영진은 시도당 더 높거나 낮은 기록 제한을 발표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라운드의 모든 시도에 대한 기록 제한은 반드시 동일해야 한다.
- A1a2) 3x3x3 최소 회전과 3x3x3 눈 가리고 맞추기(복수) 이외의 종목은 운영진이 누적 기록 제한을 규정할 수 있다. 누적 기록 제한은 반드시 한 라운드의 모든 시도에 대하여(예: 세 번의 시도에 대하여 20분의 누적 기록 제한), 혹은 여러 종목의 조합에 있는 모든 시도에 대하여 적용되어야 한다. 이 경우, 특정 시도에 대한 기록 제한은 기록 제한 자체, 또는 누적 기록 제한에서 지금까지 기록 제한에 포함되는 다른 시도의 총 소요 시간을 뺀 시간(규정 A1a5 참고) 중 더 낮은 시간이다. 한 라운드에 적용할 수 있는 누적 기록 제한이 있는 경우, 이는 반드시 최대 한 개만 있을 수 있다.
- A1a3) 모든 라운드의 기록 제한은 반드시 대회 전에 공지되어야 하며, 해당 라운드가 시작된 이후에 변경되어서는 안 된다. 기록 제한의 변경은 반드시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라 이루어져야 하며, 이때 WCA 파견위원은 변경의 공정성을 반드시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 A1a4) 선수는 반드시 시도가 기록 제한에 도달하기 전에 각 솔브를 마쳐야 한다. 선수의 타이머가 시도의 기록 제한에 도달하면, 심판은 즉시 솔브를 멈추게 하고 결과를 DNF로 기록한다. 예외: 3x3x3 눈 가리고 맞추기(복수)(규정 H1b1 참고).
- A1a5) 기록 제한 안에 들어오는 시간은 페널티가 적용된 시간(DNF가 아닌 경우)이거나 솔브에 소요된 시간(DNF인 경우)이다.
- A1b) 시도에 대한 기록 제한이 10분을 초과하는 경우, 시간 기록을 위해 반드시 스톱워치가 사용되어야 한다.
- A1c) 종목에 참가하는 선수는 반드시 해당 종목의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어야 한다(규정 2k6 참고).
- A1a) 운영진은 라운드마다 반드시 최소 한 종류의 기록 제한(시도 당 기록 제한 및 누적 기록 제한)을 적용해야 한다.
- A2) 스크램블링:
- A2a) 선수가 라운드에 호출되면, 맞추어진 퍼즐을 스크램블러에게 제출한다.
- A2a1) 선수 대기 구역이 사용 중인 경우, 선수는 시도를 완료하라는 호출을 받을 때까지 선수 대기 구역에 반드시 머물러야 한다. 라운드에서 남은 시도가 더 있는 경우, 선수는 각 시도를 완료한 후 지정된 선수 대기 구역으로 반드시 돌아가야 한다. 예외: 선수는 WCA 파견위원의 허가를 받아 선수 대기 구역을 떠날 수 있다. 페널티: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른 남은 시도의 실격(DNF).
- A2a2) 선수 대기 구역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선수는 라운드의 모든 시도를 완료할 때까지 지정된 기록 측정석에서 반드시 머물러야 한다. 예외: WCA 파견위원의 허가를 받아 기록 측정석을 떠날 수 있다. 페널티: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른 남은 시도의 실격(DNF).
- A2a3) 선수가 라운드에 호출되고 나면, WCA 파견위원의 허가를 받지 않은 이상 같은 그룹의 모든 선수가 모든 시도를 완료하기 전에는 스크램블 구역에 들어가려 해서는 절대로 안 된다.
- A2b) 스크램블러는 제4조에 있는 규정에 따라 퍼즐을 섞는다.
- A2b1) 스퀘어-1 종목에서, 운영진은 시도 시작 전에 퍼즐에 가해질 수 있는 돌발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퍼즐 속에 얇은 물체를 넣는 것을 강제할 수 있다. 이를 사용할 시 운영진은 라운드가 시작되기 전에 공지해야 한다.
- A2c) 스크램블러가 퍼즐을 섞기 시작한 이후에, 선수는 미리보기 단계를 시작하기 전까지 절대로 퍼즐을 보아서는 안 된다.
- A2d) 스크램블러에게서 퍼즐을 가져올 때, 심판은 퍼즐이 완전히 섞였는지 확인하기 위해 퍼즐을 간단히 검사한다. 심판은 스크램블러에게 우려 사항을 제기하고, 그 후 스크램블러는 자세한 점검을 한다.
- A2e) 심판은 퍼즐이 완전히 가려진 상태인지 확인하면서 퍼즐을 매트 위에 임의의 방향대로 놓는다.
- A2a) 선수가 라운드에 호출되면, 맞추어진 퍼즐을 스크램블러에게 제출한다.
- A3) 미리보기:
- A3a) 선수는 각 시도를 시작할 때 미리보기를 할 수 있다.
- A3a1) 선수는 퍼즐을 미리보기 하고 솔브를 시작하기 위해 정확히 15초 미만의 시간을 할당받는다.
- A3b) 심판은 타이머를 켜고 필요한 경우 타이머를 초기화하여 준비한다. Generation 5 Pro 타이머가 사용되는 경우, 심판은 타이머가 2-Pad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별도로, 심판은 미리보기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스톱워치도 준비한다(규정 A4d 참고).
- A3b1) 심판이 선수가 준비되었다고 판단하면, 심판은 "준비되었나요?"라고 물어본다. 선수는 질문을 받은 순간으로부터 반드시 1분 이내에 시도를 시작해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선수는 심판의 재량에 따라 시도를 박탈당한다(DNS).
- A3b2) 선수는 준비되었다는 것을 알림으로써 시도를 시작하며, 심판은 퍼즐 덮개를 열고 미리보기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한다.
- A3b3) 8초가 지나면 심판은 "8초"라고 말한다.
- A3b4) 12초가 지나면 심판은 "12초"라고 말한다.
- A3b5) 심판은 선수가 타이머에서 손을 떼 타이머가 작동되게 하자마자 미리보기 시간 측정을 멈춘다(규정 A4d 참고).
- A3c) 선수는 미리보기 동안 퍼즐을 만질 수 있다.
- A3c1) 선수는 미리보기 동안 회전 혹은 퍼즐 정렬에 의도적인 변화를 절대로 적용하여서는 안 된다. 페널티: 해당 시도의 실격(DNF). 예외: 규정 A3c2와 규정 A3c5.
- A3c2) 덮개를 제거했을 때 퍼즐의 조각이 완전히 정렬되어 있지 않다면, 오정렬이 규정 10f의 제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한 선수는 면을 정렬할 수 있다.
- A3c3) 선수는 솔브의 시작 전에 타이머를 초기화할 수 있다.
- A3c4) 스퀘어-1 종목에서 운영진에 의해 퍼즐 속에 얇은 물체를 사용하는 것이 강제되었다면(규정 A2b1 참고), 선수는 미리보기 동안 퍼즐에서 해당 물체를 제거할 수 있다.
- A3c5) 스퀘어-1 종목에서, 선수는 규정 10f의 제한 범위 안에서 가해진 그 어떠한 회전에 의해서도 페널티를 받아서는 안 된다.
- A3d) 미리보기가 끝날 무렵, 선수는 퍼즐을 매트 위에 임의의 방향으로 놓는다. 퍼즐은 반드시 완전히 매트 위에 놓여야 하며,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스택맷 타이머 위에 올려져 있어서는 절대로 안 된다. 페널티: 시간 페널티(+2초).
- A3a) 선수는 각 시도를 시작할 때 미리보기를 할 수 있다.
- A4) 솔브의 시작:
- A4b) 선수는 스택맷 타이머의 돌출된 센서 표면을 본인의 손가락으로 접촉한다. 선수의 양 손바닥은 반드시 아래를 향해야 하며, 타이머의 면 중 선수와 가까운 쪽에 위치해야 한다. 페널티: 시간 페널티(+2초).
- A4b1) 선수는 솔브를 시작하는 동안 절대로 퍼즐과 물리적 접촉이 있어서는 안 된다. 페널티: 시간 페널티(+2초).
- A4d) 스택맷 타이머가 사용된다면, 선수는 타이머에서 초록색 불빛이 표시될 때까지 본인의 손을 타이머에 올려놓아야 한다. 타이머는 선수가 타이머에서 손을 떼면 시작된다. 선수는 타이머를 시작함으로써 솔브를 시작한다.
- A4e) 솔브의 시작 동안 발생한 시간 페널티는 누적된다.
- A4b) 선수는 스택맷 타이머의 돌출된 센서 표면을 본인의 손가락으로 접촉한다. 선수의 양 손바닥은 반드시 아래를 향해야 하며, 타이머의 면 중 선수와 가까운 쪽에 위치해야 한다. 페널티: 시간 페널티(+2초).
- A5) 솔브 도중:
- A5a) 미리보기 혹은 솔빙 중에, 선수는 심판과 WCA 파견위원을 제외한 어떠한 사람과도 절대로 소통하여서는 안 된다. 페널티: 해당 시도의 실격(DNF). 예외: 선수가 심판 혹은 WCA 파견위원 외의 다른 사람과의 소통에서 아무런 이득을 얻지 않았다면,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라 결과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 A5b) 미리보기 혹은 솔빙 중에, 선수는 표면을 제외한 물체 혹은 다른 사람으로부터 절대로 보조를 받아서는 안 된다 (또한 규정 2i 참고). 페널티: 해당 시도의 실격(DNF).
- A5c) 선수는 퍼즐 조작에 도움을 받기 위해 퍼즐을 표면에 대고 있을 수 있다(규정 7f1d 참고).
- A6) 솔브의 중지:
- A6a) 선수는 솔브를 멈추기 전에 퍼즐을 놓고, 타이머를 멈춤으로써 솔브를 중지한다. 스톱워치가 사용된다면, 심판은 선수가 이 동작을 하는 즉시 스톱워치를 중지한다.
- A6a1) 스톱워치가 사용되는 동안 심판이 즉시 스톱워치를 멈출 수 없는 경우, 선수가 스톱워치를 멈출 수 있다.
- A6b) 선수는 스택맷 타이머를 올바르게 중지할 책임을 진다.
- A6b1) 선수가 퍼즐을 맞추기 전에 타이머가 멈추고 타이머에 정확히 0.06초 미만의 시간이 표시된다면, 시도는 엑스트라 시도로 대체된다. 예외: 타이머가 의도적으로 멈춰졌거나 타이머와 비정상적으로 상호작용을 한 결과로 멈췄다고 WCA 파견위원이 판단한 경우, 엑스트라 시도를 반드시 제공할 필요는 없다(예: 타이머에 최소한의 접촉만 한 경우, 손을 타이머에서 깔끔하게 떼지 않은 경우).
- A6b2) 선수가 퍼즐을 맞추기 전에 타이머가 멈추고 타이머에 0.06초 이상의 시간이 표시된다면, 해당 시도는 실격된다(DNF). 예외: WCA 파견위원이 타이머에 오류가 있었다고 판단하고 선수가 의도적으로 타이머를 멈추지 않았다고 여길 경우, 엑스트라 시도를 제공할 수 있다.
- A6c) 선수는 타이머를 멈추기 전에 퍼즐을 반드시 완전히 놓아야 한다. 페널티: 해당 시도의 실격(DNF). 예외: 타이머가 멈추고 나서 퍼즐을 놓기 전에 회전이 가해지지 않거나 정렬에 변화가 없다면, 심판의 재량에 따라 시간 페널티(+2초)가 대신하여 부과될 수 있다.
- A6d) 선수는 반드시 양손을 센서 위에 평평하게 놓고 손바닥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스택맷 타이머를 멈춰야 한다. 페널티: 시간 페널티(+2초)
- A6e) 타이머를 멈춘 후에, 선수는 심판이 퍼즐을 검사하기 전까지 퍼즐을 만지거나, 회전을 가하거나, 정렬에 어떠한 변화를 절대로 만들어서는 안 된다.
- A6f) 선수는 선수와 심판 모두가 기록지에 서명할 때까지 절대로 타이머를 초기화해서는 안 된다. 페널티: 심판 재량에 따라 시도에 대한 실격(DNF). 예외: 규정 A7c5 참고.
- A6f1) 결과가 완전히 기록되기 전에 선수가 타이머를 초기화한 경우, 심판은 절대로 기억 혹은 영상/사진 증거에 따른 결과를 적어서는 안 되며, 대신에 반드시 해당 시도를 실격시켜야 한다(DNF).
- A6g) 심판은 퍼즐이 맞추어졌는지 결정한다. 퍼즐이 오정렬 되어있다면, 심판이 최종적인 상태를 결정하기 전까지 퍼즐을 절대로 만져서는 안 된다.
- A6h) 분쟁이 있는 경우, 분쟁이 해결되기 전까지 퍼즐에 회전 혹은 정렬이 절대로 적용되어서는 안 된다.
- A6i) 솔브의 중지 동안 발생한 시간 페널티는 누적된다.
- A6a) 선수는 솔브를 멈추기 전에 퍼즐을 놓고, 타이머를 멈춤으로써 솔브를 중지한다. 스톱워치가 사용된다면, 심판은 선수가 이 동작을 하는 즉시 스톱워치를 중지한다.
- A7) 결과 기록:
- A7a) 심판은 선수에게 결과를 알려준다.
- A7a1) 심판은 퍼즐이 맞추어졌는지, 혹은 페널티가 적용될 것인지 선수에게 알려야 한다.
- A7b) 심판은 기록지에 결과를 기록하고 결과 옆에 서명함으로써 결과가 정확하고, 완전하며, 형식이 적절하고, 명확하게 읽을 수 있음을 인정한다. 심판 서명은 대회 전체에서 일관성이 있어야 하며, 심판이 누구인지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 A7b1) 페널티가 부여된 경우, 심판은 타이머에 표시되는 원래의 기록된 시간과 함께 페널티를 기록한다. 형식은 "T + X = F"이어야 하며, 이때 T는 타이머에 표시되는 시간을(앞서 언급된 "원래의 기록된 시간"), X는 시도 도중에 발생한 시간 페널티의 합을, F는 최종 결과를 나타낸다(예: 17.65 + 4 = 21.65).
- A7c) 선수는 기록된 결과를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결과가 정확하고, 완전하며, 형식이 적절하고, 명확하게 읽을 수 있음을 인정하기 위해 기록지에 서명해야 한다. 이것으로 시도가 종료된다.
- A7c1) 선수 혹은 심판이 기록지 승인 및 서명을 거부할 경우, WCA 파견위원은 해당 분쟁을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
- A7c2) 선수가 시도를 시작하기 전에 의도적으로 시도에 서명(또는 다른 표시)할 경우, 해당 시도는 무효가 되며 결과는 DNS로 간주한다. 예외: 3x3x3 눈 가리고 맞추기(복수) 종목의 경우, 선수가 기록지에 자신이 시도할 큐브의 개수를 기입할 수 있다.
- A7c3) 선수가 시도를 시작한 후 심판이 결과 기록을 마치기 전에 시도에 서명(또는 다른 표시)할 경우, 시도는 미완성으로 간주한다(DNF).
- A7c4) 선수는 심판이 시도를 기록하고 서명하기 전까지 시도에 서명해서는 안 된다. 선수는 선수 본인과 심판이 시도에 서명했는지 확인할 궁극적인 책임을 진다. 심판이 기록 입력자에게 기록지를 전달한 후에 시도에서 하나 혹은 둘 모두의 서명이 누락된 것으로 확인되면(규정 A7f 참고), 해당 시도는 미완성으로 간주한다(DNF).
- A7c5) 대회가 끝나기 전에 발견된 누락된 서명은(규정 9u 참고)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라 심판 및 선수에 의해 추가될 수 있다.
- A7c6) 선수 서명은 대회 전체에서 일관성이 있어야 하며, 선수가 누구인지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선수는 절대로 의도적으로 잘못 서명해서는 안 된다. 페널티: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른 해당 시도의 실격(DNF).
- A7c7) 선수는 기록지에서 서명란 외에 다른 곳에 무언가를 표시해서는 안 된다.
- A7c8) 만약 선수가 경험 부족으로 서명을 빠뜨린 경우,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라 언제든지 서명을 추가할 수 있다. 만약 기록지에 선수 혹은 심판이 더 이상 물리적으로 서명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라 결과가 정확하게 기록되었음을 증명하는 진술이 서명으로 인정될 수 있다.
- A7f) 한 라운드에서 선수의 기록지가 완성되면, 심판은 기록 입력자에게 기록지를 전달한다.
- A7g)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라, 선수의 경험 부족으로 인한 사건 혹은 페널티는 엑스트라 시도로 대체될 수 있다.
- A7a) 심판은 선수에게 결과를 알려준다.
제B조: 눈 가리고 맞추기
- B1) 제A조(스피드 솔빙)에 설명된 대로, 기본 스피드 솔빙 절차를 따른다. 제A조의 절차를 대체하는 추가적인 규정은 아래와 같다.
- B2) 시도의 시작:
- B2a) 심판은 규정 A3b와 같이 타이머를 초기화하고 선수가 시도를 시작할 준비가 되었음을 알린다(예: 선수 앞에 퍼즐 덮개를 놓고 "준비됐습니다"라고 말하기, 엄지를 치켜세우는 신호를 보내기). 선수는 반드시 1분 이내에 시도를 시작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시 선수는 심판의 재량에 따라 시도를 박탈당한다(DNS).
- B2b) 스택맷 타이머가 사용되는 경우, 선수는 타이머의 돌출된 센서 표면을 본인의 손가락으로 접촉한다. 선수의 양 손바닥은 반드시 아래를 향해야 하며, 타이머의 면 중 선수와 가까운 쪽에 위치해야 한다. 페널티: 시간 페널티(+2초).
- B2c) 스택맷 타이머가 사용되는 경우, 선수는 시도를 시작하는 동안 절대로 퍼즐 혹은 퍼즐 덮개와 물리적 접촉이 있어서는 안 된다. 페널티: 시간 페널티(+2초).
- B2d) 스택맷 타이머가 사용된다면, 선수는 타이머에서 초록색 불빛이 표시될 때까지 본인의 손을 타이머에 올려놓아야 한다. 타이머는 선수가 타이머에서 손을 떼면 측정이 시작된다. 선수는 타이머를 시작함으로써 시도와 솔브를 시작한다.
- B2f) 스톱워치만이 유일한 타이머로 사용되는 경우, 선수는 본인이 준비되었음을 알리고 덮개를 들어 올리며 솔브를 시작한다. 심판은 선수가 솔브를 시작하자마자 스톱워치로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한다.
- B3) 암기 단계:
- B4) 눈 가리고 맞추기 단계:
- B4a) 선수는 안대를 눈을 가리게 착용하여 눈 가리고 맞추기 단계를 시작한다.
- B4a1) 선수가 퍼즐에 첫 번째 회전을 적용하기 전까지, 선수는 안대를 벗고 암기 단계로 돌아갈 수 있다.
- B4b) 선수는 안대를 완전히 착용하기 전까지 회전 혹은 퍼즐 정렬에 절대로 의도적인 변화를 적용하여서는 안 된다. 페널티: 해당 시도의 실격(DNF)
- B4c) 선수가 퍼즐에 첫 번째 회전을 적용하자마자, 심판은 퍼즐과 선수의 얼굴 사이에 시야 가리개(예: 종이 또는 판지)가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 B4c1) 모든 상황에서, 시야 가리개가 시야를 제대로 차단하지 못하더라도 선수는 퍼즐에 대한 시야가 명확하게 차단될 수 있도록 안대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 B4c2) 시야 가리개는 반드시 선수가 안대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퍼즐이 완전히 보이지 않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 B4c3) 심판과 선수가 사전에 동의했거나 운영진의 요구가 있으면, 선수에 의해 배치된 적절한 사물(예: 보면대, 책상의 표면)이 시야 가리개로 사용될 수 있다. 선수는 시야 가리개를 스스로 배치하려는 합당한 시도를 반드시 해야 한다. 페널티: 해당 시도의 실격(DNF). 만약 시야 가리개가 선수가 안대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퍼즐이 완전히 보이지 않도록 배치되지 않았다면, 심판이 추가적인 시야 가리개를 배치해야 한다.
- B4d) 선수는 눈 가리고 맞추기 단계의 어느 시점에서도 절대로 퍼즐을 보아서는 안 된다. 페널티: 해당 시도의 실격(DNF).
- B4a) 선수는 안대를 눈을 가리게 착용하여 눈 가리고 맞추기 단계를 시작한다.
- B5) 솔브의 중지:
- B5a) 스택맷 타이머가 사용되는 경우, 선수는 퍼즐을 놓고 타이머를 멈춤으로써 솔브를 중지한다.
- B5a1) 스택맷 타이머에 더불어 스톱워치가 사용되는 경우, 심판은 선수가 솔브를 멈추자마자 스톱워치를 중지한다.
- B5b) 스톱워치만이 유일한 타이머로 사용되는 경우, 선수는 퍼즐을 놓고 심판에게 솔브를 중단했음을 알림으로써 솔브를 중단한다. 심판은 선수가 이 행동을 하자마자 스톱워치를 중지한다.
- B5b1) 선수의 기본 알림 신호는 퍼즐을 본인의 손에서부터 놓고 손바닥이 아래로 향한 채 표면에 손바닥을 놓는 것으로 구성된다. 선수와 심판은 시도의 시작 전에 이 외의 적절한 알림 신호에 대해 합의할 수 있다.
- B5c) 선수가 퍼즐을 만지고 있지 않은 경우, 타이머를 멈추기 전에 안대를 벗을 수 있다. 선수는 솔브가 끝날 때까지 퍼즐을 절대로 만져서는 안 된다. 퍼즐 접촉에 대한 페널티: 해당 시도의 실격(DNF).
- B5a) 스택맷 타이머가 사용되는 경우, 선수는 퍼즐을 놓고 타이머를 멈춤으로써 솔브를 중지한다.
제C조: 한 손으로 맞추기
- C1) 제A조(스피드 솔빙)에 설명된 대로, 기본 스피드 솔빙 절차를 따른다. 제A조의 절차를 대체하는 추가적인 규정은 아래와 같다.
제E조: 최소회전
- E2) 3x3x3 최소회전의 절차:
- E2a) 심판은 스크램블 시퀀스와 종이를 모든 선수에게 배포한다. 그런 다음 심판은 스톱워치를 시작하고 "시작"이라고 외친다.
- E2b) 모든 선수는 해답을 찾아 작성하는 데 총 60분의 제한 시간이 주어진다.
- E2c) 각 선수는 60분 동안 심판에게 서면 해답과 시도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담긴 종이 한 장을 반드시 제출해야 한다. 선수의 해답은 맞추어진 퍼즐에서 시작하여 스크램블 시퀀스를 적용하고 해답을 따라 퍼즐이 맞추어지면 정확한 것으로 간주한다. 잘못된 해답에 대한 페널티: 해당 시도의 실격(DNF).
- E2c1) 시도를 식별하는 정보는 다음과 같다: 선수의 이름, WCA ID, 혹은 대회 신청 ID(이 중 최소한 한 개이며 선택적으로 복수의 정보가 될 수 있음), 또한 부수적으로 대회 이름, 라운드, 혹은 시도 회차. 시도를 식별할 정보 없이 제출된 해답에 대한 페널티: 해당 시도의 실격(DNF). 시도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는 선수가 시도를 제출한 후 대회 종료 전까지 WCA 파견위원의 재량하에 그리고 심판의 감독하에 추가될 수 있다. 선수는 심판의 감독 없이는 제한 시간 후에 그 어떠한 것도 절대로 작성해서는 안 되며 절대로 해답에 어떠한 변화도 만들어서는 안 된다. 페널티: 해당 시도의 실격(DNF).
- E2c2) 해답은 반드시 각 회전을 순차적으로 작성한 명확한 회전 시퀀스여야 한다. 모호한 해답에 대한 페널티: 해당 시도의 실격(DNF).
- E2c3) 선수는 해답의 일부로 의도한 회전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제외할 회전은 확실히 검게 칠하거나, 지우거나, 해답 주위에 하나의 윤곽선을 그려야 한다.
- E2c4) 숫자, 문자, 아포스트로피만 선수의 해답의 일부로 간주한다. 다른 기호는 무시된다. 나머지 해답은 반드시 규정 12a에서 3x3x3 큐브에 대한 표기법으로 정의된 회전만 사용하여 작성되어야 한다. 페널티: 해당 시도의 실격(DNF).
- E2c6) 선수가 규정 12a에서 정의된 회전의 대소문자를 잘못 사용한 경우, 올바른 대소문자로 해석하여 유효한 표기법으로 인정해야 한다.
- E2c7) 해답지에 명확하게 의도된 선수의 해답과 관련이 없는 다른 글자나 표시는 심판의 재량에 따라 무시될 수 있다.
- E2c8) 선수는 3x3x3 큐브의 표기법으로 정의되지 않은 회전이나 기호, 잘못된 대소문자 사용, 또는 다른 방법으로 해답을 채점하기 어렵게 만들어서는 절대로 안 된다. 페널티: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른 해당 시도의 실격(DNF).
- E2d) 선수의 결과는 외부층 블록 회전 메트릭으로 계산된 선수의 해답의 회전수이다(규정 12a5 참고).
- E2e) 선수의 해답은 절대로 스크램블 시퀀스의 그 어떠한 부분에서도 직접적으로 파생되어서는 안 된다. 페널티 :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라 해당 시도의 실격(DNF).
- E2e1) WCA 파견위원은 스크램블 시퀀스에 개의치 않고 선수에게 해답의 각 회전의 목적을 설명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선수가 정당한 설명을 하지 못한다면 해당 시도는 실격 처리된다(DNF).
- E3) 선수는 다음의 사물을 시도 동안 사용할 수 있다. 승인되지 않은 사물의 사용에 대한 페널티: 해당 시도의 실격(DNF).
- E3a) 종이(심판이 제공), 해답 기록지(심판이 제공), 시도에 대한 스크램블의 그림(종이 혹은 해답 기록지에 포함될 수 있음), 펜/연필 혹은 유사한 도구(심판이 제공하거나 선택적으로 개인 지참).
- E3b) 3x3x3 큐브(최대 3개, 개인 지참), 이는 시도를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제3조에 설명된 대로 준비해야 한다.
- E3c) 스티커(개인 지참)
- E3d) WCA 파견위원에 의해 승인된 경과 시간을 추적하기 위한 스톱워치 혹은 시계(개인 지참)
- E3e)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라 불공정한 이점을 제공하지 않는 기타 비전자 보조 장치(규정 2i1 참고).
- E3f) 수정액, 수정 테이프, 혹은 지우개와 같은 표시를 제거하는 도구(개인 지참)
- E4) WCA 파견위원은 해답을 게시할 수 있다(예: 기록지의 사진 혹은 해답의 필사본).
- E5) 선수는 WCA 파견위원과 심판 외의 다른 사람과 절대로 소통해서는 안 된다. 소통은 WCA 규정에 관한 것이어야 하며, 선수의 이로부터 해답을 도출하는 데 절대로 도움을 받아서는 안 된다. 페널티: 해당 시도의 실격(DNF).
- E6) 선수는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라 진행 중인 3x3x3 최소회전 시도에 참여할 수 있다. 예외: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선수가 진행 중인 시도에 절대로 참여할 수 없다:
제H조: 눈 가리고 맞추기(복수)
- H1) 제B조(눈 가리고 맞추기)에 설명된 대로, 기본 눈 가리고 맞추기 절차를 따른다. 제B조의 절차를 대체하는 추가적인 규정은 아래와 같다.
- H1a) 시도 시작 전에, 선수는 시도를 원하는 퍼즐의 개수(최소 2개)를 운영진에게 반드시 제출해야 한다.
- H1a1) 선수는 운영진에게 퍼즐 개수를 제출한 후에 퍼즐의 개수를 변경할 수 없다.
- H1a2) 선수는 모든 선수가 퍼즐 개수를 제출할 때까지 자신의 제출 정보를 비공개로 유지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모든 선수가 자신의 시도 개수를 보고하면, 해당 정보는 공개된다(예: 선수가 시도를 시작하기 전에 다른 선수의 시도 개수를 물어볼 수 있음).
- H1a3) 시도 전에, 섞인 퍼즐은 반드시 완전히 가려진 채로 테이블 위에 임의의 방향대로 놓여야 한다. 퍼즐은 가능한 한 정사각형 모양으로 배열되어야 하며 쌓여서는 안 된다(예: 8개의 퍼즐은 3개의 퍼즐이 2줄, 2개의 퍼즐이 1줄로, 하나의 층으로만 배열되어야 함).
- H1b) 선수가 6개 미만의 퍼즐을 시도하는 경우, 시도하는 퍼즐 수에 10분을 곱한 기록 제한이 할당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 기록 제한은 60분이다.
- H1b1) 선수는 언제든지 솔브 종료 신호를 보낼 수 있다. 기록 제한에 도달하는 경우, 심판은 시도를 중단하고 해당 시도의 점수를 매긴다. 이 경우 시도에 대한 기록 제한이 원래 기록된 시간으로 계산된다.
- H1d) 한 시도에서 퍼즐에 대한 시간 페널티는 누적된다.
- H1e) 선수는 암기 단계 동안 절대로 하나 이상의 퍼즐에 어떤 회전도 적용해서는 안 된다. 페널티: 시도에 대한 실격(DNF). 예외: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라, 전체 시도를 실격 처리하는 대신 시도의 끝날 때 회전이 적용된 각 퍼즐을 맞추어지지 않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 H1a) 시도 시작 전에, 선수는 시도를 원하는 퍼즐의 개수(최소 2개)를 운영진에게 반드시 제출해야 한다.
- H2) WCA 파견위원의 재량에 따라, 선수는 표면을 덮을 평평한 덮개(예: 매트 혹은 천)를 직접 지참할 수 있다. 선수가 이를 원할 경우, 반드시 퍼즐 개수를 제출함과 동시에 요청해야 한다(규정 H1a 참고).